2025/05 68

'A를 B로 여기다' 영어로는 어떻게 다양하게 표현할까?

영어로 'A를 B로 여기다'라는 말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표현으로 바꿔 쓸 수 있다. 우리가 흔히 떠올리는 표현은 regard A as B인데, 이 외에도 어감과 문맥에 맞춰 쓸 수 있는 대체 표현이 꽤 많다. 영어 작문이나 말하기를 하다 보면 같은 문장을 반복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이런 추상적 의미를 담은 구문에서는 다양한 표현을 알고 있으면 문장의 품격이 올라간다. 가장 기본이 되는 표현들 regard A as B : 객관적이거나 격식을 차린 문장에서 자주 보이는 표현이다. 학술적인 글이나 기사에서 많이 쓰인다. think of A as B / look on A as B / see A as B : 일상적인 말투에 더 잘 어울리는 표현들이다. 가볍게 자신의 의견을 말할 때 쓸 수 있다. view..

영어 어휘 2025.05.05

depend on 말고도 이렇게 말할 수 있어요

depend on 말고도 이렇게 말할 수 있어요 영어에서 ‘의존하다’ 혹은 ‘기대다’는 상황을 말할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표현은 depend on일 것이다. 누구나 한 번쯤은 ‘I depend on you’ 같은 문장을 써봤을 것이다. 하지만 이 표현 하나만 계속 반복하면 어쩐지 영어 문장이 밋밋하게 느껴질 수 있다. 특히 에세이, 비즈니스 이메일, 또는 프레젠테이션처럼 다양한 어조가 필요한 글에서는 표현을 바꿔가며 쓰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다양한 '의존하다' 표현들 rely on depend on과 거의 같은 의미지만, 말투에 따라 더 부드럽게 들릴 수 있다. count on 신뢰의 뉘앙스가 강한 표현이다. 친구나 팀원에게 기대고 있을 때 자주 쓰인다. turn to / look to 곤란한 상황..

영어 어휘 2025.05.05

'occasionally'와 'sometimes'만 쓰기 지겨울 때, 이 표현들 써보세요

영어에서 '때때로'라는 말을 할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건 대부분 sometimes일 것이다. 그다음으로는 occasionally가 흔히 사용된다. 두 단어 모두 의미상 큰 차이는 없지만, 문장의 분위기나 어감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하지만 매번 같은 단어만 반복해서 쓰다 보면 문장이 단조롭게 느껴지기도 한다. 특히 에세이, 일기, 이메일처럼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자연스럽게 담아야 하는 글에서는 표현의 다양성이 중요하다. 그럴 때 쓸 수 있는 대체 표현들을 소개해 본다. 때때로를 뜻하는 다양한 표현들 at times : 전체적인 흐름 속에서 간간이 일어나는 일을 말할 때 자주 쓰인다. sometimes보다 약간 더 격식 있는 느낌도 있다. on occasion : 글을 쓸 때 자주 등장하는 표..

영어 어휘 2025.05.05

so와 such의 차이, ‘~해서 ~하다’ 구문 정확히 이해하기

영어에서 어떤 상태가 너무 ~해서 ~하다, 또는 그만큼 ~하기 때문에 결과가 생겼다는 말을 하고 싶을 때, 우리는 so ... that, 또는 such ... that 구문을 사용하게 됩니다. 둘 다 결과를 강조할 때 쓰이지만, 구조와 쓰임에는 뚜렷한 차이가 있습니다. 1. so + 형용사/부사 + that + 주어 + 동사 이 구문은 형용사나 부사를 강조할 때 사용합니다. 형용사나 부사의 강도를 ‘so’를 통해 높이고, 그 결과를 ‘that’ 절로 이어가는 구조입니다. 예 She was so tired that she fell asleep on the bus. 그녀는 너무 피곤해서 버스에서 잠들었다. He spoke so quickly that I couldn't follow him. 그는 너무 빨리 ..

영어 문법 2025.05.04

believe, find, consider 뒤에 왜 to be가 올까?

영어에서 어떤 사람이나 사물에 대해 생각이나 판단을 말할 때 우리는 종종 "그는 믿을 만하다", "그녀는 훌륭한 사람이다" 같은 표현을 하게 됩니다. 이런 문장은 영어로 옮길 때 인지동사 + 목적어 + to be 구조를 사용하게 됩니다. 1. 인지동사란? find, consider, believe, know, feel, understand 같은 동사들은 대상이 어떤 상태인지, 어떤 사람인지에 대한 판단이나 감정을 나타냅니다. 그래서 이 동사들은 자주 to be + 명사/형용사 형태를 목적격 보어로 취합니다. 예를 들어, They believed her to be reliable. 그들은 그녀가 믿을 만하다고 생각했다. 여기서 her는 목적어, to be reliable은 그에 대한 판단(보어)입니다. 2..

영어 문법 2025.05.04

after, before, since + -ing 형태, 어떻게 해석할까?

영어를 읽다 보면, after eating, before leaving, since arriving 같은 표현이 자주 등장합니다. 딱 봐도 ‘~한 이후에’, ‘~하기 전에’, ‘~한 이후로’ 같은 시간 의미가 느껴지지만, 문법적으로는 도대체 이게 전치사 + 동명사인지, 아니면 접속사 + 분사구문인지 헷갈릴 수 있죠. 이번 글에서는 이 구조를 어떻게 이해해야 자연스러운지, 그리고 실제로는 어떤 분석이 더 우세한지를 정리해보겠습니다. 1. 전치사 + 동명사 가장 일반적인 해석은, after / before / since가 전치사이고, 그 뒤에 동명사(동사원형 + -ing)가 목적어로 온다는 구조입니다. 이때 의미상 주어가 드러나는 경우도 있고, 생략되기도 합니다. 의미상 주어가 있는 경우, **소유격(my,..

영어 문법 2025.05.04

사실은 분사구문에서 유래한 전치사적 표현

compared to? including? 이 표현들, 원래는 분사였다고요? 영어에서 compared to, including, based on 같은 표현을 보면 익숙한 전치사처럼 느껴지지만, 사실은 분사구문에서 유래한 전치사적 표현입니다. 문장에서 명사 앞이 아니라, 전체 문장이나 절을 수식하는 식으로 사용되며 관용적으로 굳어진 표현들이죠. 이처럼 주절의 주어와 상관없이 쓰이는 분사 표현을 전통적으로 비인칭 독립 분사구문이라고 부릅니다. 1. 비인칭 독립 분사구문이란? 보통 분사구문은 주절과 주어를 공유하거나, 의미상 주어를 갖습니다. 하지만 이 경우처럼 주어가 따로 없고, 표현 전체가 전치사구처럼 기능하는 고정 표현이 된 형태는 문법 용어로 비인칭 독립 분사구문이라 부릅니다. 이 표현들은 관용적 전치..

영어 문법 2025.05.04

‘a+형용사+명사’가 아니라? 영어에서 어순이 달라지는 경우

영어에서 명사 앞에 a nice person, a strange idea 같은 표현은 아주 익숙하죠. 하지만 어떤 단어들이 앞에 붙으면 이 어순이 살짝 뒤집힐 때가 있습니다. 바로 such, what 같은 한정사나, so, too, how, this, that 같은 부사가 형용사 앞에 올 때입니다. 1. such / what이 올 때 어순: such + a(n) + 형용사 + 명사 ‘정말 ~한’, ‘이런 ~’처럼 감탄이나 강조를 표현할 때는 such나 what이 맨 앞에 오고, 그 다음에 a(n) → 형용사 → 단수 가산명사 순으로 이어집니다. 예 It was such a cold afternoon that we went back inside. 너무 추운 오후라 우리는 안으로 들어갔다. What a si..

영어 문법 2025.05.04

‘~하기 위해’ 영어로 말할 땐 이렇게 표현합니다

영어에서 **‘~하기 위해’, ‘~하도록’**이라는 목적의 의미를 전하고 싶을 때 많은 분들이 먼저 떠올리는 건 아마 to부정사일 겁니다. 물론 그것도 맞지만, 문장의 분위기나 길이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한 번쯤 정리해두면 유용합니다. 1. to부정사 (기본형) 가장 간단하고 일상적으로 많이 쓰이는 표현입니다. 주로 주절의 동작 목적을 덧붙이기 위해 사용되며, 형식은 매우 간단합니다. He left early to catch the bus. 버스를 타기 위해 그는 일찍 나갔다. 이 구조는 목적을 자연스럽게 전달하며, 격식도 부담스럽지 않아 회화나 작문에서 가장 널리 쓰입니다. 2. in order to + 동사원형 / for + 의미상 주어 + to부정사 to부정사와 의미는 같지만..

영어 문법 2025.05.04

‘~로 구성되다’를 영어로 다양하게 말하는 방법

무언가가 여러 가지로 이루어져 있다는 말을 영어로 하려면, 의외로 다양한 표현이 존재합니다. 그 중에서도 자주 쓰이는 표현들은 크게 두 부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수동 표현과 능동 표현, 이 둘만 정확히 구분하면 문장을 자연스럽게 만들 수 있습니다. 1. 수동으로 표현할 때 먼저, 영어에서는 ‘이것은 ~로 구성되어 있다’처럼 수동 형태를 자주 씁니다. 아래 표현들이 바로 그 예입니다. be comprised of be made up of be composed of 이 표현들은 모두 주어가 전체이고, 뒤에는 구성 요소가 옵니다. 예를 들어, 이 위원회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있다 → The committee is comprised of experts from various fields. 또는,..

영어 문법 2025.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