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지방직과 국가직 공무원, 월급은 얼마나 차이날까?

Study Log 2025. 6. 7. 02:44
반응형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는 분들이
자주 묻는 질문 중 하나가 이것입니다.
"지방직이 더 적게 받는 건가요?"
혹은
"국가직이 수당을 더 받는다고 하던데 사실인가요?"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지방직과 국가직 공무원의 실제 월급 구조와
차이 나는 이유를 하나씩 정리해드립니다.

기본급은 완전히 동일하다
먼저 확실히 말씀드릴 수 있는 건
기본급은 지방직과 국가직이 똑같다는 점입니다.
모두 동일한 ‘공무원 봉급표’를 따르기 때문입니다.
즉, 9급 1호봉이라면
어느 부처든, 어느 시청이든
기본급은 2,000,900원으로 같습니다.

 


호봉이 오를 때도 같은 속도로 올라갑니다.
이건 지방직이든 국가직이든 동일합니다.

그럼 왜 실제 월급은 다를까?
차이는 수당에서 발생합니다.
공무원 월급은 기본급 + 수당 구조입니다.
기본급이 같다면
수당의 차이로 인해 실수령액이 달라지는 것이죠.

수당은 근무 지역, 업무 강도, 조직의 성격 등에 따라
다르게 책정되거나 지급 여부가 갈립니다.
같은 9급이라도
어느 부서에서 어떤 업무를 하느냐에 따라
매달 수십만 원까지 차이 날 수 있습니다.

지방직이 수당이 적은 편일까?
반드시 그렇지는 않습니다.
지방직 공무원도 시간외 수당, 정근수당,
가족수당, 명절휴가비, 성과급 등
국가직과 거의 동일한 항목의 수당을 받습니다.

 



다만, 실제 수령액에 영향을 주는 건
얼마나 초과근무를 하느냐,
격무부서에 배치되었느냐,
지역 가산금이 있느냐 같은
실제 환경적 요인입니다.

국가직은 격무부서가 많다
국가직은 전국에 분산된
세무서, 출입국사무소, 교정기관 등
격무 부서가 많습니다.
민원 응대나 대민업무가 집중되는 곳이 많고
초과근무도 많은 편입니다.

그만큼 시간외근무수당이 높게 책정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세무직, 관세직, 교정직처럼
업무 강도가 센 부서는
수당만으로도 월 50만 원 이상 더 받는 경우도 있죠.

지방직은 어떤가요?
지방직도 민원부서, 복지부서, 주민센터 등
업무량이 많은 부서가 존재합니다.
사회복지직이나 세무직 등은
지방직이라 해도 초과근무가 많아
수당이 적지 않습니다.

 



또한 도서·산간·접경 지역 근무 시
지역가산금이 붙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강원 산간지역이나
전남 도서지역 등에서는
10만 원 내외의 수당이 추가됩니다.

실수령액은 얼마나 차이날까?
대체로 처음 임용된 경우
국가직이 지방직보다 월 10만~30만 원 정도 더 받는 편입니다.
하지만 이건 평균적인 수치입니다.
지방직 중에서도 격무부서에 배치되면
국가직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더 받을 수도 있습니다.

예시

국가직 교정직 A씨: 월 280만 원

지방직 사회복지직 B씨: 월 270만 원

지방직 교육청 일반행정 C씨: 월 240만 원

수당 구조에 따라 이처럼 10~40만 원까지 차이가 납니다.

승진에 따른 차이는?
월급 자체만 비교할 때는
승진 속도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국가직은 조직이 크고 승진 경쟁이 치열하지만
기준이 비교적 명확하고 전국 단위 전보가 가능해
빠르게 자리를 이동해 경력을 쌓을 수 있습니다.

지방직은 해당 시·도 내에서만 이동 가능하며
승진 구조는 조직 규모에 따라 천차만별입니다.
작은 군청일수록 승진 기회는 드물 수 있지만
경쟁이 적은 장점도 있습니다.

결국 중요한 건 '어디에서 무엇을 하느냐'
국가직과 지방직은
단순히 '어디 소속이냐'가 아니라
'어디에서 무슨 일을 하느냐'에 따라
월급의 실제 차이가 생깁니다.

같은 9급이어도
야근이 많고 격무인 부서라면
지방직도 국가직 못지않은 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반면 조용한 부서, 초과근무 없는 곳이라면
국가직이라 해도 실수령액은 낮아질 수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기본급은 완전히 동일하다

수당 차이가 실수령액 차이를 만든다

국가직은 격무 부서 많아 수당이 높은 편

지방직도 민원, 복지 등 격무 부서 많다

실수령액은 10~30만 원 차이 나는 경우 많다

지역가산금, 초과근무 여부에 따라
지방직이 더 받을 수도 있다

지방직이냐 국가직이냐를 고민하기 전에
내가 어떤 직렬을 준비하는지,
어떤 근무지를 희망하는지 먼저 생각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시험에 합격한 후 부서 배치에 따라
실제 수령액은 충분히 달라질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