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에서 명사 앞에 a nice person, a strange idea 같은 표현은 아주 익숙하죠.
하지만 어떤 단어들이 앞에 붙으면 이 어순이 살짝 뒤집힐 때가 있습니다.
바로 such, what 같은 한정사나, so, too, how, this, that 같은 부사가 형용사 앞에 올 때입니다.
1. such / what이 올 때 어순: such + a(n) + 형용사 + 명사
‘정말 ~한’, ‘이런 ~’처럼 감탄이나 강조를 표현할 때는
such나 what이 맨 앞에 오고,
그 다음에 a(n) → 형용사 → 단수 가산명사 순으로 이어집니다.
예
It was such a cold afternoon that we went back inside.
너무 추운 오후라 우리는 안으로 들어갔다.
What a silly mistake to make at the last minute!
마지막 순간에 하다니, 참 어이없는 실수야!
이 구조는 특히 감탄문이나 that절을 동반한 강조 문장에서 자주 보입니다.
2. so / too / how / this / that가 올 때 어순: 부사 + 형용사 + a(n) + 명사
위와는 반대로, so, too, how 같은 부사가 형용사를 수식하면
형용사가 먼저 오고, 그 뒤에 a(n) + 명사 순으로 이어집니다.
예
She is too kind a person to say anything rude.
그녀는 무례한 말을 할 수 없을 정도로 너무 친절한 사람이다.
It’s so strange a coincidence that I can’t ignore it.
무시할 수 없을 만큼 너무 이상한 우연이다.
How difficult a problem that was!
그건 정말 어려운 문제였다!
또한 this, that이 부사처럼 강조 역할을 할 때도 같은 구조를 씁니다.
I didn’t expect that big a crowd.
그렇게 많은 인파일 줄은 몰랐다.
이 표현은 말하자면 형용사에 힘을 주기 위해 어순을 잠깐 비틀어주는 것이라 생각하면 됩니다.
3. 어순 헷갈릴 땐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such / what → a + 형용사 + 명사
so / too / how / this / that → 형용사 + a + 명사
모두 강조하는 말이지만, 어순은 정확히 반대라는 점만 기억해두면 됩니다.
눈에 익을수록 자연스럽게 문장에서 튀어나올 표현들이니까
글을 읽을 때 감각적으로 받아들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영어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after, before, since + -ing 형태, 어떻게 해석할까? (0) | 2025.05.04 |
---|---|
사실은 분사구문에서 유래한 전치사적 표현 (0) | 2025.05.04 |
‘~하기 위해’ 영어로 말할 땐 이렇게 표현합니다 (0) | 2025.05.04 |
‘~로 구성되다’를 영어로 다양하게 말하는 방법 (0) | 2025.05.04 |
‘all’과 ‘all of’, 경계선은 의외로 명확합니다 (0) | 2025.05.04 |